20250430>0511 심미나 l 2025_구름소리
심미나 작가는 한병철의 <투명사회>와 같은 맥락으로 인간은 자기 혼자 있을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다고 말한다. 작품은 과잉된 사회 속에서의 버려지고 낭비되는 시간, 과다 데이터의 폭력과 절차에 의한 피로감으로 시작되었다. 포스트 미디어 사회에서 발생하는 과잉 생산과 이미지의 혼재 사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개인적 사유와 행위를 시작으로 한다. 자기상의 유지를 시각적 이미지로 객관화하며 온전한 본인의 감정에 집중하기 위한 소거의 작업을 시작한다. 지우고 비우며 흔적을 남기는 붓질의 수행을 통해 자아 성찰의 시간을 제시한다.
마음보다는 외적인 것에 치중하며 정작 가장 중요한 내면을 다루는 것조차 잊혀졌다. 심미나 작가는 인간에게 필수적인 어떠한 것에도 방해받지 않는 혼자 있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현대는 특히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 인해 본인의 내면의 마음을 다룰 여유조차 없기에 심미나 작가의 추상회화는 현대인에게 내면과 대화할 수 있는 필수적인 시간의 경험을 선사한다. 추상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어 하는 분들이 많은데 추상은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닌 자유롭게 해석이 가능하다. 내면을 성찰하고 대화하며 작품을 바라보다 보면 작품에 보여지는 색채는 관람객의 주관에 의한 색의 잔상이 개인마다의 기억 또는 추억으로 또 다른 감각의 전이 현상을 경험한다. 이는 관람객의 내면의 대화를 마주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LED 빛과 물의 관계성
조형의 기본 요소인 점, 선, 면에 색채가 더해지면, 그 미적 대상으로부터 받는 인상은 한층 더 커진다. 특히 빛에 의해 변화되는 색채를 도드라지게 시각화한 작품은 단 색조의 작품이나 흑백의 드로잉에서 느끼게 되는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와는 차원이 다른 심미적 감흥을 안겨준다. 이러한 예술 감상의 풍요로운 지대에로 우리를 유도라도 하듯, 심미나 작가는 색채와 빛을 통한 인간의 내적 울림에 그 누구보다도 큰 관심을 쏟으면서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회화적 표현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매체, 즉 LED를 통한 빛의 묘사를 조형적으로 실험한다. 이번 작품 역시 단순한 2차원의 회 화적 평면성을 넘어서는 미술의 확장으로서 영상을 활용한 계기적 연속성의 회화적 공간화를 고민하는 작업이다. 그것도 작가에게 편안함과 쉼 그리고 사색의 여백을 제공해 주는 물질적 상상력으로서 물(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빛(LED)과 함께 사유하며 치유의 영역에까지 예술을 확장시키는 인터렉티브한 작품을 공간적으로 연출하고 나선다. 더욱이, 자신의 창작 충동이 감상자들에게도 내적으로 전이(轉移)되길 바라는 미적 체험의 커뮤니케이션을 꿈꾸는 ‘울림의 미학’을 빛(LED)과 물을 통한 ‘관계의 미학’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승건(서울예술대학교 교수ᆞ미학)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