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0511 심미나 l 2025_구름소리

심미나 작가는 한병철의 < 투명사회 > 와 같은 맥락으로 인간은 자기 혼자 있을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다고 말한다 . 작품은 과잉된 사회 속에서의 버려지고 낭비되는 시간 , 과다 데이터의 폭력과 절차에 의한 피로감으로 시작되었다 . 포스트 미디어 사회에서 발생하는 과잉 생산과 이미지의 혼재 사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개인적 사유와 행위를 시작으로 한다 . 자기상의 유지를 시각적 이미지로 객관화하며 온전한 본인의 감정에 집중하기 위한 소거의 작업을 시작한다 . 지우고 비우며 흔적을 남기는 붓질의 수행을 통해 자아 성찰의 시간을 제시한다 . 마음보다는 외적인 것에 치중하며 정작 가장 중요한 내면을 다루는 것조차 잊혀졌다 . 심미나 작가는 인간에게 필수적인 어떠한 것에도 방해받지 않는 혼자 있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 현대는 특히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 인해 본인의 내면의 마음을 다룰 여유조차 없기에 심미나 작가의 추상회화는 현대인에게 내면과 대화할 수 있는 필수적인 시간의 경험을 선사한다 . 추상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어 하는 분들이 많은데 추상은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닌 자유롭게 해석이 가능하다 . 내면을 성찰하고 대화하며 작품을 바라보다 보면 작품에 보여지는 색채는 관람객의 주관에 의한 색의 잔상이 개인마다의 기억 또는 추억으로 또 다른 감각의 전이 현상을 경험한다 . 이는 관람객의 내면의 대화를 마주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 LED 빛과 물의 관계성 조형의 기본 요소인 점 , 선 , 면에 색채가 더해지면 , 그 미적 대상으로부터 받는 인상은 한층 더 커진다 . 특히 빛에 의해 변화되는 색채를 도드라지게 시각화한 작품은 단 색조의 작품이나 흑백의 드로잉에서 느끼게 되는 키아로스쿠로 (chiaroscuro) 와는 차원이 다른 심미적 감흥을 안겨준다 . 이러한 예술 감상의 풍요로운 지대에로 우리를 유도라도 하듯 , 심미나 작가는 색채와 빛을 통한 인간의 내적 울림에 그 누구보다도 큰 관심을 쏟으면서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회화적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