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25의 게시물 표시

20250530>0611 솔라양 | 잠들지 않는 수풀

이미지
  나는 평범한 일상의 장면들 속에서 개인의 기억이 보편적 감정으로 확장되는 지점을 탐색한다. 기억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구성되는 감각과 해석의 집합이다. 우리가 느낀 감정과 경험에 따라 기억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때로는 새롭게 형성되기도 한다. 작업하는 과정에서 나는 내가 속한 문화와 사회가 기억하는 역사적 사건들과, 내가 살아오며 직접 보고 느낀 순간들을 떠올리고, 그 연결된 기억들을 자연의 모습으로 표현한다. 나는 사적 경험과 사회적 기억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넘나들며, 그 틈에서 회화적 언어를 구축해 나간다. 내 작품 속 자연은 단순한 배경이 아닌 기억을 불러오는 장치로 사용된다. 기억은 단편적이며, 우리가 떠올리는 장면은 완전한 형태가 아닌 불완전한 파편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한 형태나 장면을 재현하 는 것이 아니라, 기억이 지닌 모호함과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나는 다양한 붓질의 형태와 질감을 통해 기억 속 장면들의 소리와 움직임을 완벽한 재현이 아닌 흐릿하고 중첩된 단상으로 표현한다. 

20250514>0525 구태사 l 실재적 무한 Actual Infinity

이미지
  모든 것이 언젠가는 소멸하는 유한한 세계에서 나는 때때로 끝나지 않는 것들에 대해 생각했다. 존재의 죽음과 죽지않음을 멍하니 떠올리며 시간을 보냈던 유년기를 지나 나는 이 시간의 끝과 내가 속한 지구 너머 공간의 끝, 0에서 위로 아래로 끝없이 펼쳐져 나가는 수의 끝을 이따금 생각하는 사람으로 자랐다.   끝이 없다는 것은 어렴풋이 생각하면 우리를 굉장히 두렵고 무섭게 만든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나는 끝 이후의 것을 조금 더 두려워하는 사람이어서 막연히 모든 것이 영원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나는 이제 웬만한 것에 끝은 있음을 인정하는 어른이 되었고,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영원을 생각으로 좇는 어른이 되었다. 모든 것이 끝나는 세상에서 끝나지 않는 것을 생각하는 것은 꽤 낭만적이다.   분명 나와 우리를 둘러싸고 있으나 닿을 수 없는 곳이 있다. 그곳이 너무 멀어서 닿을 수 없는 것인지 혹은 존재하지 않아서 닿을 수 없는 곳인지조차 알 수 없는 미지의 그곳을 나는 끝없는 ‘무한’이라고 생각했다.   누군가 매우 큰 숫자를 말한다고 해도 그 숫자에 1을 더하는 순간 더 큰 숫자는 존재하며, 가장 긴 직선을 그린다고 해도 그 끝에 점 하나만 찍는 순간 더 큰 직선은 존재하게 된다. 무한에 1을 더해도 무한이며, 무한에 무한을 더해도 무한이다. 우리는 그것을 계산하거나 측량할 수도, 감각할 수도 없으며 나아가 인지할 수 있는지 없는지, 실재하는지 아닌지조차 파악할 수 없다. 무한은 우리가 아무리 닿으려 해도 결코 닿을 수 없는 곳이며, 그곳을 향해 다가갈 수는 있어도 절대 도착할 수는 없는 곳이다.   그러나 우리가 무한에 닿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대한 대답은 중요하지 않다. 오히려 우리는 절대 그곳에 닿을 수 없다. 그저 무한을 붙잡으려는 인류사의 궤적을 통해 나는 인류의 낭만을 느꼈다. 닿을 수 없는 무언가를 끊임없이 예술의 언어로 나타내고 이론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시도는 우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