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41101>1113 최희준 l 수상한 세계
<수상한 세계>는 사라짐과 생겨남 사이의 중간 상태를 탐구한다. 최희준은 일상에서 사라지고 움직이는 미묘한 순간들을 그리며, 그 과정에서 무언가 놓치고 있다는 아쉬움을 반복해서 경험한다. 그는 이러한 경험을 통해, 세상의 순간순간이 사실은 해체와 재구성의 연속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마치 물의 표면이 빛과 함께 끊임없이 흔들리듯, 그의 작업에서도 선과 색은 하나의 형태에 머무르지 않고 흐트러지고 섞이며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낸다. 최희준은 평소와는 다른 이상한, 좀처럼 답을 내릴 수 없는 의심스러운 감정을 ‘수상한 세계’로 풀어내고 있다. 그가 느낀 수상함은 일상 속에서 잘 느끼지 못하는, 미세한 변화에 대한 낯섦과 맞닿아 있다. 우리가 매일 접하는 세계는 변화를 겪고 있지만, 그 변화의 속도나 방향을 쉽게 체감하기 어렵다. 바다의 파도와 모래사장은 언제나 다른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어항 속 물고기, 날아가는 새, 사람들의 모습 또한 하나로 고정된 것이 아닌 수많은 관계와 사건이 얽혀 이루어져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든 형상은 끊임없이 유동하며 한 순간도 같은 상태로 남아 있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모든 것은 잠깐의 변함이 없는 사건일 뿐이며 언젠가는 사라지게 된다고 이야기하는 듯하다. 그렇다면 그 희미하고 사라지는 것들을 계속해서 그린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최희준은 작업실 앞 개천에서 시작한 야외 드로잉을 통해 물 속에서 반사되고 흐트러지는 장면을 포착하고, 이후 수족관과 바다로 여러 대상을 탐색해 나갔다. 그의 작업에서 시간은 고정된 형상이 아닌, 계속해서 변형되고 해체되는 선과 색감의 흐름으로 표현된다. 어항, 물고기, 바다와 같은 형상은 고정된 실체가 아닌, 선과 선 사이의 유동적인 공간에서 변형되고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그의 작업에서 세상의 사물들은 고정된 형상이 아닌, 흩어지는 선들의 집합으로 그려지며, 이들은 움직임과 상호 관계 속에서 새롭게 정의된다. 이러한 과...
20250530>0611 솔라양 | 잠들지 않는 수풀
나는 평범한 일상의 장면들 속에서 개인의 기억이 보편적 감정으로 확장되는 지점을 탐색한다. 기억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구성되는 감각과 해석의 집합이다. 우리가 느낀 감정과 경험에 따라 기억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때로는 새롭게 형성되기도 한다. 작업하는 과정에서 나는 내가 속한 문화와 사회가 기억하는 역사적 사건들과, 내가 살아오며 직접 보고 느낀 순간들을 떠올리고, 그 연결된 기억들을 자연의 모습으로 표현한다. 나는 사적 경험과 사회적 기억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넘나들며, 그 틈에서 회화적 언어를 구축해 나간다. 내 작품 속 자연은 단순한 배경이 아닌 기억을 불러오는 장치로 사용된다. 기억은 단편적이며, 우리가 떠올리는 장면은 완전한 형태가 아닌 불완전한 파편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한 형태나 장면을 재현하 는 것이 아니라, 기억이 지닌 모호함과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나는 다양한 붓질의 형태와 질감을 통해 기억 속 장면들의 소리와 움직임을 완벽한 재현이 아닌 흐릿하고 중첩된 단상으로 표현한다.
댓글
댓글 쓰기